-
-
27
- 작성자시스템관리자
- 작성일22.07.21
- 조회수860
-
-
25
- 작성자시스템관리자
- 작성일22.01.31
- 조회수944
-
-
23
- 작성자시스템관리자
- 작성일21.12.31
- 조회수820
-
-
21
- 작성자시스템관리자
- 작성일21.11.10
- 조회수767
-
GGGI-WRI-GCF 등 글로벌 선도 기관과 협력하여 P4G 서울 정상회의 공식 배경문서(Background Document) 작성을 주도하는 한편 서울선언문 및 주최국 정상 공식연설문 등 핵심 정책 콘텐츠를 제시하고, 정상회의 일정 내 행사*의 전 과정 기획 및 진행 주관 * Pre-P4G(외교부 주최), P4G 녹색기술 특별세선(과기부 주최), 비즈니스 포럼(산업부 주최) 등 개요 대한민국 정부는 2030 온실가스 감축목표 달성 및 탄소중립의 국제 공동실현을 위해 환경분야 다자정상회의 ‘2021 P4G 서울 정상회의’를 5월에 개최 - 전세계 677명 주요 정상급 지도자(정상급 인사 46명, 국제기구 수장 21명) 참석 녹색기술센터는 관련 부처·기관과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행사 준비부터 개최까지 전과정 밀착 지원 주요 성과 대한민국 정책 이니셔티브 확보 지원 - 정상회의 배경, 주제, 방향 등을 제시하는 핵심 공식문건 ‘Background Document’ 총괄 기획·작성 - 정상회의 공식 결과 문서인 ‘서울 선언문’ 작성 주도 및 ‘대통령 연설문’ 핵심 콘텐츠 제시 다자정상회의 주요 행사 지원 - 외교부 주관 ‘Pre-P4G 행사’를 기획·운영하여 IPCC, GGGI, GCF 등 주요 국제 기구들과 P4G 파트너십 기반 민관협력 방안 모색 - 과기정통부 주관 ‘P4G 녹색기술 특별세션’을 총괄 운영하여 LG화학, 볼보, 레고 등 세계 유수 기업들과 산업계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기술개발 및 전략 모색 - 산업부, 대한상공회의소와 공동으로 ESG 경영, 녹색기술과 지속가능발전 관련 비즈니스 포럼 운영
-
19
- 작성자시스템관리자
- 작성일21.05.31
- 조회수765
-
-
17
- 작성자시스템관리자
- 작성일20.11.30
- 조회수749
-
-
15
- 작성자시스템관리자
- 작성일20.11.20
- 조회수726
-
녹색·기후기술 분야의 중소규모(非 예타 사업) 신규 R&D 사업에 대한 타당성 분석모형 및 예산심의 활용을 위한 웹제안·평가·관리시스템을 개발하여, 2020년 수소 분야 신규 R&D 사업 기획 시 시범 적용하고, 2021년에는 전 부처의 에너지 분야 신규 R&D 사업에 적용 * 2021년도 정부연구개발 투자방향 및 기준(안) (‘20.3월, 국과심 운영위) 성과 개요 녹색·기후기술 분야의 중소형 R&D 신규사업의 심의를 위한 사업 기획서의 평가모형(동향분석 및 문제도출, 사업추진 당위성, 기술개발 내용, 기술개발 목표, 추진방안)을 개발하고 국가과학 기술심의회 사업설명회에서 R&D 사업에 대한 평가를 진행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 주요 성과 2022년 각 부처에서 추진예정인 신규사업의 심의 평가를 위하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및 과학기술 자문회의, KISTEP, KETEP 등 관계부처·기관과 신규사업 예산심의·평가를 위한 업무 협조 진행 중소형 R&D 타당성 분석 웹 시스템을 활용하여 과학기술정보통신부, 산업통상자원부, 국토교통부, 해양수산부 4개 주요부처의 27개 R&D 신규사업 기획서를 제출받고 예산심의 자료 분석에 활용
-
13
- 작성자통합 관리자
- 작성일20.05.30
- 조회수1714
-
-
11
- 작성자시스템관리자
- 작성일20.01.31
- 조회수767
-
-
9
- 작성자시스템관리자
- 작성일19.06.14
- 조회수774